정부는 지난 21일 국무회의에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당일 안정적 시험 시행을 위한 지원대책을 논의했다. 올해 수능은 11월 13일(목) 08시 40분부터 17시 45분까지 전국 85개 시험지구 1,310개 시험장에서 실시되며, 응시자는 전년보다 31,504명 증가한 55만 4,174명이다. 정부는 55만여 명의 수험생이 수능에 원활하게 응시할 수 있도록 당일 아침 교통 혼잡을 줄이고, 시험시간 중에는 시험장 주변 소음을 방지하는 등 적극 지원에 나선다. 수능 당일 아침 수험생이 교통 혼잡으로 시험장에 늦게 도착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관공서‧기업체 등에 출근 시간을 오전 10시 이후로 조정하도록 협조 요청한다. 또한, 수험생 등교 시간대인 오전 6시부터 8시까지 수도권 지하철 운행 대수를 늘리고, 경찰서 등 행정기관의 비상 수송차량을 수험생 이동 경로에 배치하는 등 이동 편의를 지원한다. 시험장 주변의 교통 혼잡 예방을 위해 수능 당일 시험장 200m 전방부터 차량 출입을 통제한다. 따라서 수능 당일 자차를 이용하는 수험생은 시험장 200m 전방에서 내려 걸어가야 한다. 3교시 영어영역 듣기평가 진행 시간(13:10∼13:35, 25분간)에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항공기‧헬리콥터 이착륙 시간을 조정하고, 포 사격 및 전차 이동 등 군사훈련을 잠시 중단한다. 듣기평가 시간대 이외에도 수험생이 시험장 주변 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시험장 주변을 지나는 버스‧열차 등은 서행하고 경적 사용을 자제하며, 시험장 주변 행사장, 공사장 등의 생활소음도 최대한 자제할 것을 당부했다. 수험생은 11월 7일(금)부터 기상청 누리집(www.weather.go.kr)에서 시험장 날씨 정보를 미리 확인해 기상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시도에서는 기상악화에 대비해 도서‧벽지 수험생 수송 대책, 제설 대책 등을 마련한다. 17개 시도교육청은 안전한 시험 환경 조성을 위해 10월 31일(금)까지 전체 시험장을 대상으로 안전 점검을 실시한다. 수능 당일 지진 발생에 대비해 지진 상황을 상시 점검하는 한편, 전체 시험장의 정보 전달 체계를 구축해 지진 발생 시 대처 요령에 따라 빠르게 대응하도록 한다. 교육부는 경찰청, 시도교육청과 함께 문답지 보안 관리를 위한 철저한 경비체계를 마련하고, 모든 시험지구에 교육부 중앙협력관을 파견하여 문답지 관리를 지원한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그동안 수험생들이 갈고닦은 실력을 온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모든 부처와 함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하며, “수험생 여러분은 건강에 유의하며 마음 편히 시험 준비에 전념하시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제106회 전국체전이 10월 17일부터 23일까지 부산에서 개최되는 가운데 지난 19일 진행된 레슬링 경기 모습을 사진가 김형호씨가 기록했다. 이번 촬영은 감동과 영감을 순간 포착하는데 초점을 뒀다고 말했다.
제106회 전국체전이 10월 17일부터 23일까지 부산에서 개최되는 가운데 지난 18일 진행된 유도경기 모습을 사진가 김형호씨가 기록했다. 이번 촬영은 전통적인 유도 경기의 모습뿐만 아니라, 최근 이미지 소비층의 트렌드에 맞춘 감각적인 장면도 함께 담았다고 김형호씨는 전했다.
강원 북부지역 높은 산지를 중심으로 올해 첫눈이 관측됐다. 설악산 국립공원 측에 따르면 20일 오전 설악산에 약 1cm가량의 눈이 쌓였고 올해 첫눈은 지난해와 비교해 1일 늦었다고 밝혔다. 강원 북부지역 최저 기온은 설악산 영하 0.9도, 철원 임남 3.2도 화천 광덕산 3.3도 춘천 8도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