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미술관은 오는 9월 4일부터 12월 1일까지 ‘안창홍’ 전을 개최한다. 안창홍 작가는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고, 정규 미술 교육을 받지 못해 미술을 ‘독학’했다. 1981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30여 회의 개인전과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안 작가는 주로 구상 회화를 다뤘지만, 형식이나 매체 면에서도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선보였다. 안창홍의 예술은 한국 사회의 현실을 담아냈고, 그것을 작가만의 독자적인 시각 언어로 표현했다. 덕분에 한국의 좌우 이데올로기 분열을 고스란히 반영한 단색조 예술과 민중미술의 대결적 구도에서도 벗어난 예술을 선보일 수 있었다. 작가는 이를 ‘현실주의 미술’이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날선 아름다움은 소름끼치고 공포스러운 이미지뿐 아니라, 과감한 표현으로도 드러났다. 이번 전시작 ‘눈먼 자들’은 텅 빈 동공을 한 인물들의 얼굴조각으로, “정작 봐야할 것은 보지 못하고 욕망에 눈이 먼 사람들”을 표현했다. ‘마스크’ 연작은 출퇴근길 전철에서 마주하는, 삶의 무게에 지쳤지만 어쩔 수 없이 욕망의 현장으로 나아가는 시민들의 공허한 얼굴을 담았다. 또 ‘이름도 없는’ 연작은 역사 속에서 이름 없이 희생된
㈔세계여성평화그룹(IWPG) 글로벌 5국은 지난 20일 ‘제6회 평화사랑 그림그리기 국제대회’ 예선 시상식과 특별전시회를 ‘세대를 초월한 평화 세계관 공유’라는 부제로 대구시 낙동강 승전기념관에서 개최했다. 이번 특별전시회는 차세대 어린이들이 그린 평화와 기성세대 예술인들의 작품이 어우러진 공동 전시회로, 세대를 넘어 평화로 하나 된 세계를 소망하는 취지로 기획됐다. 한국노벨문학 총재 김평 작가와 노애경 작가, 경주시 예당 문경예 작가의 작품이 공동 전시됐다. IWPG가 주최하는 본 대회는 단순히 그림 실력이 뛰어난 학생들을 포상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평화를 마음에 새기고 이를 그림이라는 예술로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참가 학생들이 평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올해까지 6년간 총 50개국이 넘는 국가의 어린이와 청소년이 참가하며 글로벌 대회로 성장하고 있다. 손한국 대구광역시의회 교육위원회 부위원장은 “본 대회는 휴대전화와 오락문화에 젖은 어린이들에게 평화의 마음을 그림으로 표현해 볼 수 있는 좋은 교육의 장이 될 것”이라면서 “IWPG가 전파하는 평화문화와 교육 사업은 아주 가치 있는 일이며 수상자 모두가 마음에 평화의 꽃을
원주시의 돋보이는 청년 정책이 화재다. 원주지는 7월 15일부터 오는 8월 9일까지 ‘원주시 솔로 매칭 프로젝트 「연애할 결심」’ 참가자를 모집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8월 23일(금)부터 24일(토)까지 단계동 장미공원 일원에서 진행되는 ‘원주시 청년축제’에서 미혼 청년들에게 체험 부스, 공연 등 다양한 볼거리 및 즐길 거리를 제공하며 교류의 장을 마련했다. 프로젝트를 통해 매칭된 커플 참가자는 24일(토) 장미공원에서 첫 만남을 갖게 되며 청년축제 스탬프 투어 완료 시 삼양라운드스퀘어에서 후원하는 데이트 비용 5만 원을 지원받는다. 모집인원은 2000년부터 1985년생 미혼 남녀 각 20명씩 총 40명이며, 신청대상은 원주시에 주소를 두거나 지역 내 기업체에 근무하는 자영업, 프리랜서 등을 포함한 직장인이다. 참가신청은 온라인 폼(https://naver.me/GQ10O16N)을 통해 가능하며, 선정발표 및 커플별 첫 만남 시간 등은 개별 통보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시 홈페이지(공고)를 참고하거나 복지정책과 청년정책팀(☎033-737-2306)으로 문의하면 된다.
올해로 12살이 된 서울국제어린이영화제가 포스터를 공개했다. ‘우리는 모두 어린이다’란 슬로건으로 오는 9월 5일부터 10일까지 6일간 은평구 일대에서 개최된다. 이번 영화제는 전 세대의 어린이 당사자성을 강조, 영화를 통해 전 세대가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 본질인 영화와 어린이에 집중해 어린이가 주체가 되어 펼칠 수 있는 다양한 시도를 이어간다. 포스터에는 영화 그 자체를 놀이터 삼아 다채로운 색감 속에서 저마다의 색깔을 뽐내는 어린이들이 눈에 띈다. 영화를 매개로 인종, 국가, 성별, 연령의 경계를 뛰어넘는 어린이들은 스스로 행동하며 오색빛깔로 빛을 발한다. 저마다의 개성이 존중되는 서울국제어린이영화제에서 어린이들이 펼칠 발랄하고, 엉뚱하고, 때로는 진지한 영화적 상상력이 기대된다. 김한기 집행위원장은 “서울국제어린이영화제를 찾아온 모든 어린이들이 영화를 본 뒤 스스로 탐구하고 토론하고, 또 마음껏 뛰어 놀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 덧붙여 “어린이 영화제의 본질을 지키되, 기존 영화제의 문법에 고착되지 않도록 참신한 기획을 준비하겠다”며 이번 영화제 개최에 대한 포부를 밝혔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국제어린이영화제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